목록알쓸전컴 (343)
알쓸전컴(알아두면 쓸모있는 전자 컴퓨터)
HTMLElement javascript or Jquery 를 사용할때에 선택한 html 속성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제어를 할수가 있습니다. www.w3.org html 표준을 만드는 단체에서 그 속성을 서술해 놨고 우리는 찾아서 사용하기만 하면됩니다. 자 일단 예제 코드를 보면서 이해도를 높이도록 하겠습니다. HTML CSS JavaScript 이제 크롬으로 실행을 시켜 결과값을 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2가지 타입이 로그로 나오는군요 .HTMLLIElementHTMLCollection속성을 보는 페이지를 링크 시켜 놨습니다. 이중에 1개만더 좀더 상세한 예제를 보겠습니다. opentutorials HTML CSS JavaScript 결과값은 HTMLLIElementHTMLAnchroElementHTML..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2) 축전지 배터리로 불리는 이유 이전에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1) 강의에서 아래 그림까지는 이유가 설명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에 저렇게 만들어진 커패시터를 만들고 전구 실험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실험 도구를 공유하겠습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일단 아래 그림과 같이 회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는 스위치를 닫을때(전지와 연결) 전자의 이동을 봐주고 스위치를 열때(전지와 분리) 할때 전자의 이동을 주의깊게 봐주세요 처음에 전자의 이동이 1번 전선들에서 먼저 이동하고 2번 전선에서 이동 합니다. 그 이유는 전자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먼저 움직이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구(10옴)보다는 커패시터(저항 거의 없음) 쪽이 저항이 적기 때문에 일단 커패시터 쪽으로 이..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1) 커패시터란 무엇일까요 ? 네이버 지식 백과에 주로 전자회로에서 전하를 모으는 장치이다 축전지 라고도 하며 배터리로 사용되기는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덴서는 단순히 금속 박판과 기름종이 겹겹히 순차적으로 말아 놓은것입니다. 위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콘덴서의 모양은 정말 여러가지 입니다. 실험 도구를 가지고 이해하는것 가장 직관적이고 이해가 빠를듯 하여 실험 웹페이지를 링크 했으니 따라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먼저 봐야 할곳은 1번 빨간색 박스를 보겠습니다. 전지를 1.5V로 바꾸자 -자유전자가 전지 쪽으로 움직였습니다. 그이유는 전압 전류 자연적 성질 의 강의를 보면 좀더 쉽게 이해 될수 있습니다. 자유전자 이동이 이루어 ..
전자와 전류의 방향 -전자와 전류는 방향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전기 에너지는 -전자의 이동에 함에 따라 발생합니다. 하지만 과거에 과학자들은 +전자(정공)이 움직여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는 것으로 잘못알고 있었습니다. -전자가 -> +정공 쪽으로 이동하는 사실이 발견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전자가 -> +정공 사실이 발견되기전에 모든 전기 전자 서적들은 +전공의 움직이는 기준으로 작성되어서 전류또한 + -> - 쪽으로 방향을 표시 했었습니다. 원래 대로라면 -전자가 -> +정공 이렇게 바꿔야 하지만 과학자들이 생각하기에 정공이 움직이는 것 으로 생각해도 크게 문제 되지 않았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이유는 전자의 이동은 정공의 이동이라고도 볼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전자가 이동 ..
전류와 저항 전류와 저항의 관계는 꽤나 심플합니다. 이 관계를 좀더 편히 이해하는 방법은 로 보고 이해 하시는게 제일 편합니다. V(전압↑) 으면 I(전류↑) R(저항↑) 으면 I(전류↓) 관계가 성립 됩니다. 이전에 전압에 대해 설명 할때 그림을 다시 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전자가 이동하여 전류가 생긴다고 했을때 이번에는 R 저항 원자가 있다고 합시다. 그럼 자유전자는 R에 부딛히게 됩니다 그리고는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되죠. 전자가 이동 하려는 성질은 B 물질의 +불안정 원자가 많을수록 잡아 당기는 성질은 계속 됩니다. 하지만 자유전자의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되면 시간당 전자의 이동은 적어질수 밖에 없는 것이죠. 전자의 이동이 적어 진다는것은 전류↓ 의미 합니다. 간단한 실험 을 해볼수 있습니다. R을 ..
GEM 프로토콜 기본 개념 특정 상황에서 어떤 SECS-Ⅱ Message를 사용해서 통신을 하고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정의한 표준이 GEM 입니다. 이렇게 SECS-II 을 통해서 어떤 행동을 할지에 대해서 정의한것은 많이 있지만 기본적인만 로직을 보고 나머지는 필요할때마다 GEM 표준 문서를 보고 분석 해서 사용하시는것이 가장 좋을듯 합니다. 여기서는 문서를 어떻게 해석 되는지에 대해서만 다루는것이 가장 좋을듯 합니다. Communications state Diagram GEM 표준 문서를 보면 위와 같은 다이어 그램이 나와 있습니다. 그리고 해당 다이어그램에 대한 설명이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간단히 분석을 위해서 gem 문서의 위의 다이어 그램에 관련된 부분의 표를 가져 오겠습니다. Commun..
Time 에러 Time 에러는 secs-I 와 HSMS 에서 통신을 확인 및 유지시키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secs-I와 HSMS 에서 통신 error 는 이름과 종류가 다르니 각각 알아 보겠습니다. secs-I Time error 일단 secs-I 표준 문서를 표면 이러한 표가 있고 영어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몇가지 자료를 통해 이해 돕도록 하겠습니다. symbol name Funtion Typical value range T1 Inter-Character Timeout 연속되는 Character 사이의 Interruption 감지 0.5sec 0.1 ~ 10 T2 Protocol Timeout Protocol응답의 누수 감지 10sec 0.2 ~ 25 T3 Reply Timeou..
HSMS[High Speed SECS Message Service] sesc-I 을 대체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프로토콜입니다. 시대가 변하면서 RS-232 보다 더빠른 ehternet 기반으로한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하는 시대가 됬습니다. 반도체 설비들도 더 빠른 통신을 필요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TCP/IP 프로토콜 위에 HSMS 프로토콜을 얻혀 SESC-I 을 대체 하는것으로 표준이 만들어 졌습니다. 먼저 secs-I 위에 secs-II 를 다시 한번 구조를 보겠습니다. 영역 크기 설명 A 1byte B영역과 C영역의 데이터 크기가 몇바이트 인지 설정 B 10byte Header Structure 에서 상세히 설명 기본 개념은 데이터의 흐름 제어 C 0~244Byte DATA 를 집..
secs-II 개념 secs-II 개념은 이전 secs-I 강의 에서 부분중에 C영역에 대한 규약을 정의한 것이 secs-II 프로토콜 입니다. 먼저 secs-II 개념에서는 이름 내용 stream 카테코리 Funtion stream의 세부 내용 Message 2용어가 먼저 나옵니다. secs-II 문서를 보면 기본 카테고리가 정의되어 있고 Funtion 에 대한 세부 내용이 들어가 있습니다. 그래서 C영역을 작성 하는것은 위 부분을 작성 하는것 입니다. 데이터 작성 기본 규칙 secs-II 에서 데이터는 header 와 body를 가지고 있습니다. Number of length byte,Length byte 빨간색으로 박스친 부분을 같이 봐야합니다. number of length byte는 length..
secs-I 프로토콜 설비와 host PC 간의 통신 내용,방법을 정의한 프로토콜입니다. secs-I은 내용이 많지 않습니다. 또한 현재는 사용빈도가 많이 줄어드는 추세 입니다. 하지만 기본 Base 개념에 필요한 부분들이 있어서 학습은 필요합니다. 통신 수단은 RS-232 을 이용합니다. 프로토콜이라는것의 절반은 용어의 해석 부터 시작 되니 차근 차근 용어를 풀어 나가며 학습 하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를 전공했던 분들을 모르시기가 어려운 RS-232 입니다. secs-I은 1980년도 쯤에 정의가 됬으니 이해야 되실겁니다 그당시 통신 RS-232가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통신 규격 1start bit(0) - 8 data bit - 1stop bit(1) 비동기 통신 1:1 통신 위와 같은 통신 규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