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알쓸전컴 (343)
알쓸전컴(알아두면 쓸모있는 전자 컴퓨터)
반도체란 전기전도도에 따라 물질을 분류하면 크게 도체, 반도체, 부도체로 나뉜다. 반도체는 순수한 상태에서 부도체와 비슷한 특성을 보이지만 불순물의 첨가에 의해 전기전도도가 늘어나기도 하고 빛이나 열에너지에 의해 일시적으로 전기전도성을 갖기도 한다.[네이버 지식백과] 반도체 [semiconductor, 半導體] (두산백과) 정의 되어 있습니다. 이전에 원자 구조와 전자 강의 에서 원자의 최외각 전자의 갯수로 도체 반도체 부도체 를 구분한다고 알려드린적이 있습니다. 그리고 최외각 전자들이 자유전자가 되기 위해서는 필요한 에너지량 최외각전자가 몇개인지에 구분된다고 했습니다. 그것을 나태낸 것이 에너지 밴드 이구요 이전 자료를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원자 구조와 전자 가져옴. 최외각 -전자들의 갯수 들에의해 ..
인덕터 단위 인덕턴스(L)는 일정량의 전류(i)가 흐를때 생기는 자기 선속 (φ)으로서 정의된다. L = Nφ / IL: 인덕턴스 [H], N: 코일의 권수, φ: 자속 [wb], I: 전류 [A] 위의식으로 정의 되며 그값을 [H] 헨리라고 말합니다. 커패시터의 단위 F(패럿) 이라고 부릅니다. 이 1패럿은 1V에 1C의 전자량이 저장되었을때 를 1F 이라고 합니다. C[F]는 패럿으로 전자를 저장할수 있는 용량 정전요량 이라고도 말합니다. Q[C]=-전자량(쿨롱) V[V]=전압(볼트) 입니다. 전하량의 단위 전하량이란 -전자의양을 나타냅니다. 그리고 단위를 [C] 쿨롱으로 표현합니다. 1쿨롬은 전류 1암페어가 1초 동안 흘렀을 때 이동한 전하의 양이다. 즉, 단위시간 당의 전하의 양이다. 1C는 약 ..
커패시터 역활 커패시터의 역활은 여러가지 사용 되지만 자주 사용되는 Bypass capacitor 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커패시터는 고주파를 선택하여 전류를 따로 흐를수 있게 합니다. 일단 실험을 하기전에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2) 을 이해 하셔야 됩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저주파 일때 동영상을 보면 1번 루프에서 전자가 먼저 움직이고 그다음 2번에 움직입니다. 그이유는 커패시터 쪽이 전압이 적기때문에 먼저 전자가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주의할점은 1번루프의 커패시터는 전자가 이동은 하지만 커패시터를 사이를 뛰어 넘지는 못하는 것이죠 이에대한 설명은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1) 에 설명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1번에서 커패시터에 전자를 모두 완성하고 나면 2번 루프에서 전자가 움직이게 됩니..
인덕터의 역활 위키백과에 인덕터의 역활을 보면 인덕턴스 L[H]인 인덕터에 전류 i[A]가 흐르면 그 양단에 전압 이 유도되며, 이 전압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역기전력 또는 유도 기전력 이라 부른다. 이 전압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 이말이 무슨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험을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이전에 인덕터에 대해서 배울때 전자 또한 관성의 법칙으로 전압의 방향이 바뀔때 전류또한 방향이 바뀌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AC에서는 일정 주기로 전압을 바꾸는데 이 주기가 느릴때(저주파) 전자가 이동을 바꿀 시간을 충분히 주지만 너무 빨리 바꾸면 방향을 바꿀 시간이 부족하고 이것이 반복 되면 전자가 제자리에 멈춤듯한 현상이 나오게 됩니다. 즉! 전압의 ..
인덕터(inductor) 위키백과에 인덕터의 역활을 보면 인덕턴스 L[H]인 인덕터에 전류 i[A]가 흐르면 그 양단에 전압 이 유도되며, 이 전압은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역기전력 또는 유도 기전력 이라 부른다. 언뜻 말이 어렵습니다. 하나하나 풀어 나가기 위해서 무슨말인지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인턱터는 코일입니다. 우선 전자 또한 속도를 가지고 이동하고 질량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관성의 법칙안에 있습니다. 네이버 사전에 관성의 법칙 이란?관성의 법칙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모든 물체는 자기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려고 하는 것을 말한다. 즉, 정지한 물체는 영원히 정지한 채로 있으려고 하며 운동하던 물체는 등속 직선운동을 계속 하려고 한다. 달리던 버스가 급정거하면 앞으..
교류(AC)와 주파수 교류란 ? 일정한 주기를 갖고 규칙적으로 크기와 방향을 바꾸는 전류이다. 교류는 일정 시간에대한 전류의 방향이 변하고 변하는 속도가 얼마인가에 대해서 말해 주는것이 주파수 입니다. 1초당 60번 전류 방향이 바뀌었으면 우리는 60Hz 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전류 방향이 빨리 바뀌면 우리는 이를 고주파 느리면 저주파 라고 합니다.
자력선과 전류 자력선과 전류 (1)번 강의에서는 자력선이 변하면 전류가 흐른다르는것을 실험을 통해 알았습니다. 이번에는 그 반대의 경우 입니다 . 전류가 흐르면 자력선(자계)가 생기는 현상이 있습니다. 오른나사 법칙중학교나 고등 학교에서 들어 봤을만한 법칙입니다. 전류가 흐를때 자력선(자계)이 어떻게 형셩 되는지 알려줍니다. 아래 그림은 전류가 도선에 직선 으로 흐를때 입니다. 아래 그림은 전류가 코일에 흐를때 입니다. 저희가 사용할 실험 프로그램은 상하가 반전 되어 있으니 그림도 반전해서 보는것이 이해가 쉬울듯해서상하 반전 시킨 그림을 아래와 같이 표시 했습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위의 실험과 같이 자력선을 테스트 해보면 이해를 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위의 실험에서 보면 코일에 전류를 흘리면 이는 전자..
자력선과 전류 자력선 와 전류 이둘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먼저 자력선이란 ? magnetic line of force 자계의 상태를 나타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가상된 선으로, 그림과 같이 N극에서 나와 공간을 지나 S극으로 들어간다. 이 접선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을 나타내고, 그 밀도는 자계의 세기를 나타낸다. 또, 자력선은 같은 방향으로 통하고 있는 것끼리는 서로 반발하고 그 자신은 고무끈과 같이 오그라들려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자력선과 교차하는 일은 없다.[네이버 지식백과] 자력선 [magnetic line of force, 磁力線] (전자용어사전, 1995. 3. 1., 성안당) 자석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자력선은 전압 전류와 관계가 있다라는것을 발견하고 이용한 사람 페러데이 입..
javascript+django(csrf) 통신하기 polls/templates/test7.html {% csrf_token %} {% csrf_token %} xhr.setRequestHeader("Content-Type", "application/x-www-form-urlencoded"); var data = ''; xhr.send(data); } 을 넣어 적어 줍니다. polls/views.py from django.shortcuts import get_object_or_404, render # Create your views here. from django.http import HttpResponseRedirect,HttpResponse from .models import Question,Choi..
HTMLCollection HTMLCollection은 리턴 결과가 복수인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객체다. 정도로 정의가 되지만 코드를 보면 좀더 직관적입니다. 예를들면 HTML CSS JavaScript 위와 같은 html 코드가 있을때var lis = document.getElementsByTagName('li'); 이렇게 문서에서 tag 을 선택하게 되면 lis 변수에는 총3개의 태그 변수를 리스트 형식으로 리턴 받게 됩니다. 이러한 것을 HTMLCollection 형태라고 합니다. 그리고 HTMLCollection 형태가 가지는 구조는 HTMLCollection interface HTMLCollection { readonly attribute unsigned long length; Node i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