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기전자 (19)
알쓸전컴(알아두면 쓸모있는 전자 컴퓨터)
자력선과 전류 자력선 와 전류 이둘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먼저 자력선이란 ? magnetic line of force 자계의 상태를 나타내기 쉽게 하기 위하여 가상된 선으로, 그림과 같이 N극에서 나와 공간을 지나 S극으로 들어간다. 이 접선의 방향은 자계의 방향을 나타내고, 그 밀도는 자계의 세기를 나타낸다. 또, 자력선은 같은 방향으로 통하고 있는 것끼리는 서로 반발하고 그 자신은 고무끈과 같이 오그라들려는 경향이 있으며, 다른 자력선과 교차하는 일은 없다.[네이버 지식백과] 자력선 [magnetic line of force, 磁力線] (전자용어사전, 1995. 3. 1., 성안당) 자석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자력선은 전압 전류와 관계가 있다라는것을 발견하고 이용한 사람 페러데이 입..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2) 축전지 배터리로 불리는 이유 이전에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1) 강의에서 아래 그림까지는 이유가 설명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만약에 저렇게 만들어진 커패시터를 만들고 전구 실험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실험 도구를 공유하겠습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일단 아래 그림과 같이 회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는 스위치를 닫을때(전지와 연결) 전자의 이동을 봐주고 스위치를 열때(전지와 분리) 할때 전자의 이동을 주의깊게 봐주세요 처음에 전자의 이동이 1번 전선들에서 먼저 이동하고 2번 전선에서 이동 합니다. 그 이유는 전자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먼저 움직이는 성질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구(10옴)보다는 커패시터(저항 거의 없음) 쪽이 저항이 적기 때문에 일단 커패시터 쪽으로 이..
콘덴서,커패시터 알아보기 (1) 커패시터란 무엇일까요 ? 네이버 지식 백과에 주로 전자회로에서 전하를 모으는 장치이다 축전지 라고도 하며 배터리로 사용되기는 합니다. 이게 무슨 말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콘덴서는 단순히 금속 박판과 기름종이 겹겹히 순차적으로 말아 놓은것입니다. 위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콘덴서의 모양은 정말 여러가지 입니다. 실험 도구를 가지고 이해하는것 가장 직관적이고 이해가 빠를듯 하여 실험 웹페이지를 링크 했으니 따라 해보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실행을 위해 클릭 먼저 봐야 할곳은 1번 빨간색 박스를 보겠습니다. 전지를 1.5V로 바꾸자 -자유전자가 전지 쪽으로 움직였습니다. 그이유는 전압 전류 자연적 성질 의 강의를 보면 좀더 쉽게 이해 될수 있습니다. 자유전자 이동이 이루어 ..
전자와 전류의 방향 -전자와 전류는 방향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전기 에너지는 -전자의 이동에 함에 따라 발생합니다. 하지만 과거에 과학자들은 +전자(정공)이 움직여 전기 에너지가 발생하는 것으로 잘못알고 있었습니다. -전자가 -> +정공 쪽으로 이동하는 사실이 발견된지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전자가 -> +정공 사실이 발견되기전에 모든 전기 전자 서적들은 +전공의 움직이는 기준으로 작성되어서 전류또한 + -> - 쪽으로 방향을 표시 했었습니다. 원래 대로라면 -전자가 -> +정공 이렇게 바꿔야 하지만 과학자들이 생각하기에 정공이 움직이는 것 으로 생각해도 크게 문제 되지 않았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이유는 전자의 이동은 정공의 이동이라고도 볼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의 그림을 보면 전자가 이동 ..
전류와 저항 전류와 저항의 관계는 꽤나 심플합니다. 이 관계를 좀더 편히 이해하는 방법은 로 보고 이해 하시는게 제일 편합니다. V(전압↑) 으면 I(전류↑) R(저항↑) 으면 I(전류↓) 관계가 성립 됩니다. 이전에 전압에 대해 설명 할때 그림을 다시 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전자가 이동하여 전류가 생긴다고 했을때 이번에는 R 저항 원자가 있다고 합시다. 그럼 자유전자는 R에 부딛히게 됩니다 그리고는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되죠. 전자가 이동 하려는 성질은 B 물질의 +불안정 원자가 많을수록 잡아 당기는 성질은 계속 됩니다. 하지만 자유전자의 이동에 방해를 받게 되면 시간당 전자의 이동은 적어질수 밖에 없는 것이죠. 전자의 이동이 적어 진다는것은 전류↓ 의미 합니다. 간단한 실험 을 해볼수 있습니다. R을 ..
전압 전류의 자연적 성질 일반적으로 우리는 전기는 V=IR 이라 학교에서 외우지만 자연적으로 어떻게 전기 에너지가 생기는지 설명을 많이 듣지는 않습니다. 왜 V=IR 인가에 대해서 차근 차근 풀어나가 보려 합니다. 최대한 수학을 배제 하고 말이죠. 우선 이전에 우리는 배웠습니다 원자의 기본 성질 [안정화] 바로 안정화를 취하기 위한 성질에서 전압이 힘이 생기게 됩니다. 전압이제 부터 원자를 표시할때 아래와 같이 간단히 표현 하겠습니다. 1가지 가정을 들어 보겠습니다. 안전화를 이룬 물질과 불안정한 물질이 있다고 해 봅시다. 그리고는 철판으로 이었다고 가정하면 어떻게 될까요 ?? 끌어 당기는 에너지로 -전자를 떼어낸뒤 불안정한 정공이 있는 원자가 자신쪽으로 전자를 끌어 당깁니다. 이렇게 끌어 당긴 -전자로..
원자 구조 먼저 원자에는 띠가 존자 합니다. 그리고 그 띠중에서 최외각 에 있는 전자를 최외각 전자 라고 합니다. 현재 인류가 에너지를 주어 -전자를 떼어낼수 있는 부분은 최외각 전자 들입니다. 원소 주기율표물질의 이러한 원자들의 성분들을 정리를 해놓은것인 흔히 많이 중학교 화학 시간에 나오는 원소 주기율표 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림에서 보이는 띠를 원소 주기율표에서 주기라고 합니다. 그리고 양성자(+전자)의 갯수를 족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것은 최외각 -전자의 갯수 입니다. 여기서 최외각 -전자들의 갯수 들에의해 자유전자가 되는정도의 필요한 에너지가 서로 다릅니다. 1~3 까지 정도는 -전자의 들에 정말 조금만 에너지를 줘도 자유전자가 되어 버립니다. (도체) 4~5 개는 어느 정도 에너지를 주..
전자 전자라는 것에 알아봐야합니다. 전자는 어디에 있는것일까요 ? 전자를 알기위해서는 원자를 알아야합니다. 흔히 우리는 원자의 세계에서 살고 있다고 말합니다. 물체를 쪼갤수 있는 최소 단위로 알고 있습니다. 원자의 구조 여기서 -전자 와 +양성자 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들이 전기 에너지의 비밀입니다. 양성자의 성질양성자는 자신이 가진 양성자의 갯수만큼 -전자를 가지고 싶어 합니다. 원자 종류 양성자 갯수 -전자 갯수 수소 원자 1개 1개 헬륨 원자 2개2개 리튬 원자 3개3개 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양성자와 -전자의 갯수가 같을때 물질이 안정화를 이루었다고 합니다. 원자의 성질을 이러한 안정화를 이루고 싶어 합니다. 대단히 중요한 발견이자 개념입니다. -전자 떼어내기여기서 필요한 개념이 이전에 설명..
왜 에너지를 알아야하지? 우리가 사는 물리적인 세계에서 전기의 초반은 에너지 의미를 아는것부터 시작 하는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에너지의 의미를 정확히 알고 있어야 이후 개념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에너지란 ? 네이버 에서 사전적 의미 물리적인 일을 할 수 있는 능력. 에너지의 크기는 물체가 할 수 있는 일의 양을 의미한다 일을 할수 있는 능력 ? 물체가 할수 있는 일의 양 ? 여기서 말하느 일은 무엇을까요 ? 과학적 의미의 일이란? 네이버의 사전적 의믜 물체에 일정한 힘 F를 가하여 그 힘의 방향으로 거리 S만큼 이동시켰을 때 작용한 힘은 물체에 W=F · s만큼의 일을 했다고 말한다. 결론 에너지는 물체를 일정한 힘으로 거리를 이동 하는 것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위치 에너지 전기 전자에 대해 알기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