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쓸전컴(알아두면 쓸모있는 전자 컴퓨터)
NPN 트랜지스터 본문
NPN 트랜지스터
NPN 트랜지스터 구조부터 보겠습니다.
이전 PN 다이오드와 원리는 같습니다.
그리고 접합하는 부분에서는 +와 -가 만나 안정화를 이루게 됩니다.
트랜지스터 사용법
트랜지스터에서 P형쪽에 정공을 전지로 +정공을 취해 주면 접합부에 안정화를 이루었던 부분에서 균형이 무너지며
전류를 흘려 주게 됩니다.
하지만 P쪽에 정공을 제공하지 않으면 안정화 부분이 무너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전류가 흐르지 않죠 .
또한 베이스 전류라는 것을 보면 +정공을 B 부분에 전달해 줘야 베이스(B부분)라고 부르는 곳의 전선에도
-전자가 +정공쪽으로 움직에게 됩니다 즉! 전류가 흐릅니다.
하지만 보통 베이스쪽에는 적은 전압을 주므로 아주 적게 흐르고 대부문 콜렉터전류(C 부분) 쪽 부분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하지만 베이스(B쪽)을 콜렉터(C쪽) 보다 더큰 전압을 걸면 전류 대부분은 B쪽으로 가게 됩니다.
트랜지스터를 많이 사용하는곳
1. 트랜지스터는 스위치의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B(베이스)부분에 +전압 제어해서 E(이미터)와 C(콜렉터)의 전류의 흐름을 스위칭 할수 있습니다.
2. 증폭하는 부분으로 사용됩니다. B(베이스)부분의 +전압의 정도에 따라 C(콜렉터)에 흐르는 전류값에 영향을 줍니다.
이로써 작은 B(베이스) 신호 값을 C(콜렉터) 부분에서 크게 증폭 시키는 효과를 가져 옵니다.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랜지스터 논리회로 (1) | 2017.09.06 |
---|---|
반도체 P형 N형 다이오드 (0) | 2017.09.04 |
반도체란? (0) | 2017.09.02 |
인덕터 커패시터 전하량 단위 (0) | 2017.09.02 |
커패시터 역활 (Bypass capacitor) (1) | 2017.09.02 |
Comments